Screen Shot 2024-04-04 at 6.11.02 AM.png

Screen Shot 2024-04-04 at 6.11.16 AM.png

https://fashionsymbols.com/hermes/

Pio-Clementino Museum, Vatican City https://www.theoi.com/Gallery/S11.12.html#:~:text=The god Hermes stands nude with a,and a caduceus wand in his hand.

So-called "Hermes Ingenui" after the inscription on the pedestal indicating the name of the sculptor or of the donator. Hermes wears his usual attributes: kerykeion (or herald's staff), kithara, petasus (round hat), traveller's cloak and winged temples. Marble, Roman copy of the 2nd century BC after a Greek original of the 5th century BC. https://en.wikipedia.org/wiki/Caduceus#/media/

https://www.britannica.com/topic/caduceus

나무위키 https://namu.wiki/w/카두케우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뱀 2마리가 올라가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지팡이. 전령의 신 헤르메스의 지팡이다. 카두케우스는 고전 라틴어식 발음이라 오늘날 로망스어군이나 영어의 관례에 따라 카두세우스라 하기도 한다. 고전 그리스어로는 케리케이온(κηρύκειον)

원래 카두케우스는 그리스 이전의 메소포타미아 지방 등에서도 쓰였던 상징이며, 처음에는 양 가지가 꼬인 나무 막대였다. 이는 "우호"를 상징하며. 현실의 사자와 대사들이 그들의 비폭력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지고 다니는 상징물이 되었다. 그러던 것이 언젠가부터 2마리 뱀으로 해석되었고, 뱀이 땅 속(지하)와 땅 위(지상)를 마음대로 오가는 것에 착안하여 경계에 구애받지않고 명부를 오고가며 통신을 전달하는 헤르메스의 역할을 상징했다. 헤르메스의 지팡이처럼 여겨진 이후에는 빠른 속력을 상징하는 1쌍의 날개가 2마리 뱀 위에 달리게 되었다. 그리고 로마 시대에는 계속 뜻이 늘어나 죽은 자를 명부로 안내하는 이른바 저승사자의 역할이라든가, 상인이나 거짓말쟁이, 양치기, 도박사, 도둑 등의 수호를 상징하기도 하고, 죽어가는 자를 편안하게 가게 해주는 등의 뜻이 붙게 되었다. 사람을 최면에 빠트리기도 하고 깨우기도 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원래 의술을 상징하는 것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뱀 1마리)이며, 차이는 뱀의 갯수 1마리 차이뿐이지만 두 지팡이가 지닌 의미는 명백히 다르다. 의술의 신이자 아폴론의 아들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전승에서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제우스의 번개를 맞아 죽은 글라우코스(Glaukos)를 치료하던 중 뱀 한 마리가 방 안으로 들어왔는데 이에 깜짝 놀란 아스클레피오스가 자신의 지팡이를 휘둘러 그 뱀을 죽이자, 잠시 후 또 한 마리의 뱀이 입에 약초를 물고 들어와 죽은 뱀의 입 위에 올려놓았고, 그러자 죽었던 뱀이 다시 살아났다. 이것을 본 아스클레피오스는 뱀이 했던 대로 그 약초를 글라우코스의 입에 갖다대어 살려내었다. 그리고 아스클레피오스는 존경의 의미로 자신의 지팡이를 휘감고 있는 한 마리의 뱀을 자신의 상징으로 삼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