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발표 (학생 심포지엄)은 같은 대주제로 발표하는 학생들이 실시간 비대면 줌 수업으로 진행합니다. 발표자는 일 인당 9 분 분량의 발표자료를 준비하되 발표시간 11 분 넘으면 감점합니다.
발표자료 초안, 최종 발표자료, 발표 내용 보고서는 PDF 로 만들어서 e-campus 에 제출해 주십시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 발표 하루 전 21시까지 - 발표 자료 초안(PDF 형식 권장. PPT 나 Keynote 형식도 가능) e-campus 제출
발표자는 본인이 줌에서 발표 자료 공유하여 발표 진행 (발표시간 10분 이하. 1분 이상 초과시 감점)
발표 후 일주일 후 21시까지 - 실제 사용한 발표자료 최종본 (PDF 형식 권장)과 주제에 대한 보고서 (PDF 형식, 표지 없이 A4 용지 단면 4장 (=4 페이지) 이하 ) e-campus 제출
보고서는 발표에 대한 질문이나 답변, 토론과 코멘트도 반영하여 작성 보고서에는 전체 학생에게 공개됩니다. 학번과 학과는 기입하지 마십시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 필요합니다.
Academic Essay 와 Term Paper 비교 (Gemini 2.5F)
| 구분 | Academic Essay (학술 에세이) | Term Paper (텀페이퍼/연구 보고서) | 
|---|---|---|
| 목적 | 특정 주제나 텍스트에 대한 자신의 주장(논점)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논증 | 한 학기 동안의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특정 주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조사 결과를 보고 | 
| 규모 | 상대적으로 짧고(5~15페이지), 한두 가지 주요 논점에 집중 | 상대적으로 길고(10~30페이지 이상), 광범위한 자료를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 
| 자료 | 수업 교재, 지정된 문헌, 핵심 참고 문헌 등 | 광범위한 선행 연구(학술 논문) 및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새로운 관점이나 결론을 도출 | 
| 구조 | 서론-본론-결론의 기본 3단 구성을 따르지만, 본론이 세분화되기보다는 논리적인 서술이 중요 | 연구 논문의 구조를 따름: 서론 (연구 목적/범위) - 이론적 배경 - 연구 방법 - 분석/결과 - 결론 (논리적, 체계적 분할). | 
| 요구되는 것 | 논점의 명확성과 논증의 설득력 | 주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심층적인 자료 분석 능력 | 
텀페이퍼는 "연구 보고서"의 성격이 강하여, 주어진 주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주장 제시를 넘어, 선행 연구(그동안 해당 주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자료를 해석하며, 그 결과를 체계적인 연구 형식에 맞춰 제시해야 합니다.
학술 에세이는 주로 특정 주제에 대한 논리적인 주장을 펼치고 이를 효과적으로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물론 인용과 참고 문헌이 필요하지만, 텀페이퍼만큼의 방대한 연구 조사 과정을 요구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텀페이퍼는 연구의 구조와 깊이를, 학술 에세이는 주장의 명확성과 논증의 논리를 조금 더 강조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두 형식 모두 논제(Thesis)를 중심으로 글을 전개하고, 정확한 인용을 해야 한다는 공통점은 같습니다.
일반 학생들은 심포지엄에 실시간 비대면으로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고, 출석 여부는 실시간 호명, 채팅을 통한 답변으로 확인합니다. 교수가 공지한 경우에는 비실시간으로 녹화 동영상을 e-campus 수업자료실에서 시청해도 수업으로 인정됩니다.
개인 발표는 PPT의 구성과 완성도, 구두 발표력와 설득력, 발표 내용, 토론의 내용과 깊이 등 네가지 요소를 비슷한 비중으로 평가합니다.